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react #event
- Django #Static
- 인프런 #assertThat #오류
- react #mini_project #study
- react #리액트 #JSX
- Django #장고 #에러해결방법 #templatetags
- db #with절 #오라클 #oracle #쿼리 #query
- SQL
- decode함수
- MariaDB #Error
- regexp_substr함수
- react #ref
- JPA #Springboot #java
- react #props #state
- python #json
- db #mysql #mariadb
- PostgreSQL
- blockscope
- DTO #VO
- JSP #Java #JQuery
- git #삭제
- yarn #오류
- django #db #오류
- 데이터집계
- 인텔리제이 #intelliJ #패키지생성 #package
- flutter #flutter개념 #특징 #장단점
- springboot #에러
- javascript #자바스크립트 #공백제거함수
- oracle #
- kotlin #코틀린 #SpringDataJPA단점
- Today
- Total
목록Python (34)
감자의 개발공부 일지
- Python의 객체에는 mutable과 immutable객체가 존재 mutable - 수정 가능한 객체 - list, dict, set immutable - 수정 불가능한 객체 - int, float, str, tuple, bool mutable 예제1 - list data = [100, 200, 300] print(id(data)) #22463062942568 data[0] = 400 print(data) #[400, 200, 300] print(id(data)) #22463062942568 -> data의 첫번째 값을 400으로 변경하였지만 여전히 id값은 변경이 없이 기존 id값과 동일하게 출력 예제2 -set data = {100, 200, 300} print(data) #{100, 200, ..
최댓값 예제 import sys data_list = [100, 105, 110, 115, 120] max_data = -sys.maxsize -1 for data in data_list: if data > max_data: max_data = data print("max_data : "max_data) 결과 max_data : 120 최솟값 예제 import sys data_list = [100, 105, 110, 115, 120] min_data = sys.maxsize for data in data_list: if data < max_data: min_data = data print("min_data : "min_data) 결과 min_data : 100
DataFrame ID SCHOOL NAME 0 123 S_University 김철수 1 456 Y_University 홍길동 2 789 K_University 최판서 DataFrame 칼럼 이름 조회 # 데이터프레임 칼럼 이름 조회 df.columns #Index(['ID', 'SCHOOL', 'NAME'], dtype='object') 특정 열 이름 조회 #i+1번째 열 이름 조회 df.columns[0] #'ID'
try-except문 -오류와 관련된 예외처리를 따로 빼고 싶을때 사용 문법 #try, except만 사용할 때 try: 시도할 코드 except: 예외가 발생했을때 처리할 코드 #발생할 오류와 오류 메시지 변수 포함한 try, except문 try: 시도할 코드 except 발생할 오류 as 오류 메시지 변수: 예외가 발생했을때 처리할 코드 예제1 try: x = int(input('숫자를 입력하세요: ')) y = 11 / x print(y) except: print('예외가 발생!') #숫자를 입력하세요: 0 (0은 입력값) #예외가 발생! 예제2 try: x = int(input('숫자를 입력하세요: ')) y = 11 / x print(y) except ZeroDivisionError as e:..
replace() - 특정 문자열을 다른 문자로 변경하고 싶을때 사용 문법 replace('이전값', '새값') 예제 'Java 공부를 합시다'.replace('Java', 'Python') #'Python 공부를 합시다' translate() - 문자열 안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변경하고 싶을 때 사용 문법 table = str.maketrans('이전값', '새값') '문자열'.translate(table) 예제 data_table = str.maketrans('play','1234') data = 'stay'.translate(table) print(data) #st34
round() - 소수점 아래 숫자를 반올림하는 함수 문법 round(반올림할려는 값, 원하는 자릿수) 예제 pi_data1 = round(3.14159265359) pi_data2 = round(3.14159265359,0) pi_data3 = round(3.14159265359,1) pi_data4 = round(3.14159265359,2) pi_data5 = round(3.14159265359,3) pi_data6 = round(3.14159265359,4) pi_data7 = round(3.14159265359,5) print("pi_data1: ", pi_data1) #('pi_data1: ', 3.0) print("pi_data2: ", pi_data2) #('pi_data2: ', 3.0)..
- 문자열에서 원하는 문자나 단어의 개수를 구함 문법 찾아야할 값이 있는 범위.count(찾는 값, start, end) #start는 찾아야 할 값이 있는 범위의 시작 점 #end는 찾아야 할 값이 있는 범위 중 종료 지점 예시1 data = "let's study count" print(data.count('u')) # 2 예시2 data = ["111", "222", "333", "444", "111", "111", "333", "555", "222", "111"] print(data) print("'111'의 개수 :",data.count("111")) #['111', '222', '333', '444', '111', '111', '333', '555', '222', '111'] #'111'의 개..
data리스트에 한번에 여러개의 값을 추가하고 싶을때 아래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나중에 append한 값이 자체 인덱스로 들어가게 된다. data = [] data.append('id') data.append(['class', 'grade', 'name']) print(data) #['id', ['class', 'grade', 'name']] -> 이러한 결과 값을 원하지 않았다. 여러값을 추가하고 싶다면 append가 아닌 extend로 값을 추가해야한다. data = [] data.append('id') data.extend(['class', 'grade', 'name']) print(data) #['id', 'class', 'grade', 'name'] 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값이 잘 나오게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