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자의 개발공부 일지

[ Spring/SpringBoot] DAO, DTO, VO 개념 알고 가기 본문

JAVA/Spring / Springboot

[ Spring/SpringBoot] DAO, DTO, VO 개념 알고 가기

Elie_J 2022. 11. 14. 17:37
반응형

Spring을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앞서 DAO, DTO, VO 관련한 개념을 잡고 가기 위해 포스팅한다.

 

<DAO, DTO, VO 개념 알고 가기>

DAO

- Data Access Object 로, 데이터베이스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로 DataBase에 접근하기 위한 로직이나 비지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.

 

DTO

- Data Transfer Object로,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 DTO는 로직을 가지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인 getter와 setter만 갖는 클래스이다.

 

VO

- Value Object로, 값 오브젝트로써 값을 위해 쓰인다. 사용하는 도중에 변경 불가능하며, 오직 읽기만 가능한 기능을 가진다.

 

DTO 와 VO의 공통점

- DTO와 VO는 계층 간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한다.

 

DTO 와 VO의 차이점

- DTO는 값이 변할 수 있지만, VO는 변하지 않는다.

- DTO는 각 계층 사이에서 사용 되지만, VO는 모든 계층에서 사용이 가능하다.

- DTO는 데이터 접근과 validation 로직을 제외하고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. VO는 특정한 비지니스 로직을 가지고 있다.

 

📕출처 :  https://youtu.be/EeJnNaiMy3U

반응형